부퍼탈러 SV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퍼탈러 SV는 1954년 SSV 04 부퍼탈과 TSG 80 포빈켈의 합병으로 창단된 독일의 축구 클럽이다. 1972년부터 1975년까지 분데스리가 1부에 속했으나, 이후 하위 리그를 오가며 현재는 레기오날리가 베스트에서 활동하고 있다. 1999년에는 4부 리그까지 강등되기도 했으며, 2007-08 DFB-포칼에서 16강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귄터 프뢰퍼, 호르스트 시마니악 등 유명 선수들을 배출했으며, 로트-바이스 에센을 비롯한 여러 클럽과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4년 설립된 축구단 - 동북고등학교 축구부
동북고등학교 축구부는 서울 강동구 동북고등학교 소속으로, 전국 고교 축구대회에서 14회 우승, 고교클럽 챌린지리그 1회 우승을 기록했으며 이회택, 홍명보, 김은중, 손흥민 등 국가대표 선수들을 배출했다. - 1954년 설립된 축구단 - FC 발티카 칼리닌그라드
FC 발티카 칼리닌그라드는 1954년 창단되어 피셰비크 칼리닌그라드에서 발티카로 명칭을 변경한 러시아 축구 클럽으로,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와 1부 리그를 오가며 2024년 러시아 컵 준우승을 기록했고 칼리닌그라드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의 축구단 - 바이어 04 레버쿠젠
바이어 04 레버쿠젠은 독일 레버쿠젠을 연고로 하는 바이엘 지원의 프로 축구 클럽으로, 2023-24 시즌 분데스리가에서 첫 우승을 차지하며 바이에른 뮌헨의 독주를 멈췄고 UEFA컵과 DFB-포칼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사비 알론소 감독 아래 새로운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다.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의 축구단 -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는 1899년 창단된 독일 축구 클럽으로, 1970년대 황금기를 통해 분데스리가 5회 우승, UEFA컵 2회 우승을 달성했으며, 1. FC 쾰른, FC 바이에른 뮌헨과 라이벌 관계를 형성한다.
부퍼탈러 SV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클럽 이름 | 부퍼탈러 SV |
전체 이름 | 부퍼탈러 슈포르트-페어라인 e.V. |
별칭 | WSV, 디 뢰벤 (사자들) |
창단 | 1880년 (체조 클럽) 1904년 (축구 클럽) |
경기장 | 슈타디온 암 초 |
수용 인원 | 23,067명 |
회장 | 알렉산더 아이히너 |
감독 | 레네 클링바일 |
리그 | 레기오날리가 베스트 (4부) |
2022–23 시즌 | 2위 |
![]() |
2. 역사
1954년 SSV 04 부퍼탈과 TSG 80 포빈켈이 합병하여 부퍼탈러 SV가 창단되었다.[1] 이후 1972년부터 1975년까지 분데스리가 1부에 소속되었으나,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1] 1980년대에는 3부 리그에 머물렀고, 1992년 분데스리가 2부로 복귀했지만, 1994년에 다시 3부 리그로 강등되었다.[1] 1999년에는 4부 리그로 강등되었지만, 2003년에 3부 리그로 복귀했다.[1] 2008년, 신설된 분데스리가 3부에 소속되었지만, 2010년에 레기오날리가 (4부)로 강등되었다.[1]
1954-55 시즌, 통합된 팀은 2. 오버리가 서부 (II)에서 우승하며 오버리가로 승격했다. 호르스트 시마니악, 에리히 프로브스트 등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오버리가에서의 성적은 좋지 않아 1958년에 강등되었다.[1]
1962-63 시즌, 다시 오버리가로 복귀했지만, 분데스리가 창설로 인해 2부 리그로 배정되었다. 같은 시즌 DFB-포칼 준결승에 진출했지만, 함부르크 SV에 패했다.[1]
1972-73 시즌, 분데스리가로 승격하여 3시즌 동안 1부 리그에서 활동했다. 1973-74 시즌에는 UEFA컵에 진출했지만, 1라운드에서 탈락했다. 1974-75 시즌에는 분데스리가 최하위를 기록하며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1]
이후 1980년까지 2부 리그에서 5시즌을 보냈고, 1980년부터 12시즌 동안 아마추어 오버리가 노르트라인 (III)에서 활동했다. 1992-93 시즌과 1993-94 시즌에 2. 분데스리가로 복귀했지만, 다시 3부 리그로 강등되었다.[1]
1998년 파산 위기를 겪었고, 다음 시즌 회비 미납으로 오버리가 노르트라인 (IV)으로 강등되었다. 2003년 레기오날리가 노르트 (III)로 복귀했다.[1]
2004년, 보루시아 부퍼탈과 합병하여 부퍼탈러 SV 보루시아가 되었지만, 서포터들의 반발로 2013년에 다시 부퍼탈러 SV로 이름을 변경했다. 2013년 파산으로 인해 오버리가 니더라인 (V)으로 강등되었다가, 2015-16 시즌 리그 우승으로 레기오날리가로 승격했다.[1]
2007-08 DFB-포칼에서는 16강까지 진출했지만, 바이에른 뮌헨에 패했다.[1]
2. 1. 전신 클럽들의 초기 역사 (TSG, SSV)
TSG는 1880년 이전에 체조 클럽으로 활동했으며, SSV의 뿌리는 1904년 겨울 스포츠 클럽인 베르기셔 빈터슈포르트-운트 SV 04 엘버펠트가 설립된 것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05년에 이 클럽은 SSV 엘버펠트(SSV Elberfeld)로 알려졌다. 이 클럽은 1930-31년 전국 결승전 초반에 참가했고, 나치 독일 치하에서 독일 축구가 재편된 1933년에 결성된 16개의 최상위 리그 중 하나인 가울리가 니더라인에서 1936-37년과 1937-38년 두 시즌 동안 활약했다. 이 팀은 이듬해 SSV 04 부퍼탈(SSV 04 Wuppertal)로 개명되었고, 1940년 강등될 때까지 가울리가에서 두 시즌을 더 보냈다. 1941년에 1부 리그로 복귀하여 3위를 차지했지만, 전쟁으로 인한 인력 부족으로 인해 팀을 구성할 수 없어 1942-43 시즌 도중에 리그를 떠났다.[1]2. 2. 전후 재건과 WSV 창단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TSG 보흐빈켈은 1947년 오버리가 서부 1부 리그에서 활동하며 1950년 14위로 강등될 때까지 경쟁했다.[1]두 클럽은 모두 1950년대 초 2. 오버리가 서부 (II)에 속해 있었으며, SSV는 1930년대 중반부터 1940년대 중반까지 독일 축구를 지배했던 샬케 04의 전 스타 프리츠 체판 감독의 지도를 받았다. 1954년 두 협회의 통합으로 "부퍼탈러 SV"가 창설되었고, 거의 즉각적인 성과를 거두어 1954–55 시즌에 통합된 팀이 선두로 도약하여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1] 호르스트 시마니악과 오스트리아 국가대표 에리히 프로브스트와 같은 선수들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부퍼탈의 오버리가 복귀는 성공적이지 못했다. 클럽은 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했고, 1958년 꼴찌에서 두 번째를 기록하며 강등되었다.[1]
''WSV''는 새로운 1부 리그 분데스리가가 창설되기 전 마지막 오버리가 시즌이었던 1962–63 시즌에 다시 최고 리그로 복귀했다.[1] 정규 시즌 성적은 좋지 않았지만, 팀은 DFB-포칼에서 준결승까지 진출했고, 함부르크 SV에게 4만 명의 홈팬들 앞에서 접전 끝에 0–1로 패했다.[1]
2. 3. 분데스리가 승격과 전성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TSG 보흐빈켈은 더 강력한 팀으로 부상하여 1947년 오버리가 서부 1부 리그에서 활동하게 되었고, 1950년 14위로 강등될 때까지 이 리그에서 경쟁했다.두 클럽은 모두 1950년대 초 2. 오버리가 서부 (II)에 속해 있었으며, SSV는 1930년대 중반부터 1940년대 중반까지 독일 축구를 지배했던 샬케 04의 전 스타 프리츠 체판 감독의 지도 하에 있었다. 1954년 "부퍼탈러 SV"를 창설한 두 협회의 통합은 거의 즉각적인 성과를 거두어 1954–55 시즌에 결합된 팀이 선두로 도약하여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호르스트 시마니악과 오스트리아 국가대표 에리히 프로브스트와 같은 선수들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부퍼탈의 오버리가 복귀는 성공적이지 못했다. 클럽은 테이블 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했고, 1958년 꼴찌에서 두 번째를 기록하며 강등되었다.
''WSV''는 새로운 1부 리그 분데스리가가 창설되기 전 마지막 오버리가 시즌이었던 1962–63 시즌에 다시 최고 리그로 복귀했다. 정규 시즌 성적은 좋지 않았지만, 팀은 좋은 DFB-포칼 여정을 보여주며 준결승까지 진출했고, 첫 번째 디비전 팀이자 최종 컵 우승팀인 함부르크 SV에게 4만 명의 홈팬들 앞에서 접전 끝에 (0–1)으로 패했다.[1]
다음 해, 클럽은 새롭게 창설된 2부 리그의 5개 디비전 중 하나인 레기오날리가 서부에 참가했다. 부퍼탈은 알레마니아 아헨에 이어 디비전에서 2위를 기록하며 견실한 성적을 거두었다. 1960년대 말과 1970년대 초까지 경쟁력을 유지했다. 1972년에는 레기오날리가 서부 우승을 차지하고 분데스리가 승격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며 돌파구를 마련했다. WSV는 플레이오프 라운드 8경기에서 모두 승리하며 압도적인 모습을 보였는데, 이는 이 플레이오프 형식으로 진행된 11시즌 동안 놀라운 성과였다.[1]
2. 4. 분데스리가 이후의 역사

1954년 SSV 04 부퍼탈과 TSG 80 포빈켈이 합병하여 부퍼탈러 SV가 창단되었다.[1] 1972년부터 1975년까지 분데스리가 1부에 소속되었지만, 이후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1] 1980년대에는 3부 리그에 머물렀고, 1992년 분데스리가 2부로 복귀했지만, 1994년에 다시 3부(레기오날리가)로 강등되었다.[1] 1999년에는 4부 리그로 강등되었지만, 2003년에 3부 리그로 복귀했다.[1] 2008년, 신설된 분데스리가 3부에 소속되었지만, 2010년에 레기오날리가 (4부)로 강등되었다.[1]
1954-55 시즌, 통합된 팀은 2. 오버리가 서부 (II)에서 우승하며 오버리가로 승격했다. 호르스트 시마니악, 에리히 프로브스트 등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오버리가에서의 성적은 좋지 않아 1958년에 강등되었다.[1]
1962-63 시즌, 다시 오버리가로 복귀했지만, 분데스리가 창설로 인해 2부 리그로 배정되었다. 같은 시즌 DFB-포칼 준결승에 진출했지만, 함부르크 SV에 패했다.[1]
1972-73 시즌, 분데스리가로 승격하여 3시즌 동안 1부 리그에서 활동했다. 1973-74 시즌에는 UEFA컵에 진출했지만, 1라운드에서 탈락했다. 1974-75 시즌에는 분데스리가 최하위를 기록하며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1]
이후 1980년까지 2부 리그에서 5시즌을 보냈고, 1980년부터 12시즌 동안 아마추어 오버리가 노르트라인 (III)에서 활동했다. 1992-93 시즌과 1993-94 시즌에 2. 분데스리가로 복귀했지만, 다시 3부 리그로 강등되었다.[1]
1998년 파산 위기를 겪었고, 다음 시즌 회비 미납으로 오버리가 노르트라인 (IV)으로 강등되었다. 2003년 레기오날리가 노르트 (III)로 복귀했다.[1]
2004년, 보루시아 부퍼탈과 합병하여 부퍼탈러 SV 보루시아가 되었지만, 서포터들의 반발로 2013년에 다시 부퍼탈러 SV로 이름을 변경했다. 2013년 파산으로 인해 오버리가 니더라인 (V)으로 강등되었다가, 2015-16 시즌 리그 우승으로 레기오날리가로 승격했다.[1]
2007-08 DFB-포칼에서는 16강까지 진출했지만, 바이에른 뮌헨에 패했다.[1]
3. 라이벌 관계
부퍼탈러 SV 팬들은 샬케 04와 로코모티프 라이프치히와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있으며, 과거에는 헤르타 BSC 팬들과도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3] 로트-바이스 에센은 가장 강력한 라이벌이며,[4][5] 로트-바이스 오버하우젠, 알레마니아 아헨, VfL 보훔, 포르투나 뒤셀도르프 또한 주요 라이벌로 꼽힌다.
4. 팬 문화
구단의 경기력이 좋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팬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 현재 18개의 서포터 그룹이 있다: Red Blue 1954, Treue Löwen, Die Wuppys 04, Die Falken, Teamgeist, Pflegestufe 4, Schwebende Jonges, Zooalarm Wuppertal, Red Blue Fanatics, Opus W, Sektion Gegengerade, Tradition 1954, Wupper-Piraten, WSV Fans Mittelrhein, Wupperlümmel's, Die Mecker Oppas, Wupperschlümpfe, Debakel Arrenberg.[2]
구단 팬들 중 다수는 샬케 04를 지지하며, 로코모티프 라이프치히와 오랜 우정을 유지하고 있다. 과거에는 헤르타 BSC 팬들과도 다소 우호적인 관계를 맺었다.[3] 로트-바이스 에센은 가장 강력한 라이벌이며,[4][5] 로트-바이스 오버하우젠과 알레마니아 아헨도 주요 라이벌이고, VfL 보훔과 포르투나 뒤셀도르프 또한 라이벌 관계에 있다.
5. 수상 내역
대회 | 우승 횟수 | 우승 연도 |
---|---|---|
레기오날리가 베스트 | 1회 | 1972 |
오버리가 노르트라인 (IV) | 4회 | 1990, 1992, 2000, 2003 |
오버리가 니더라인 (V) | 1회 | 2016 |
니더라인포칼 | 7회 | 1981, 1985, 1999, 2000, 2005, 2007, 2021 |
6. 선수 명단
의 현재 선수 명단은 2024년 9월 15일 기준이다.[7]
6.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9월 15일 기준)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1 | GK | 크리스티안 보즈니악 | Krystian Wozniak|크리스티안 보즈니아크pl |
2 | DF | 니시무라 스바루 | 西村 昴|니시무라 스바루일본어 |
3 | DF | 니시 신노스케 | 仁志 晋之介|니시 신노스케일본어 |
4 | DF | 빈센트 젬발리에스 | Vincent Gembalies|빈센트 겜발리스de |
5 | DF | 베네딕트 빔머 | Benedikt Wimmer|베네딕트 비머de |
6 | MF | 유프 문스터스 | Joep Munsters|윱 뮌스터르nl |
7 | MF | 세미르 사리치 | Semir Saric|세미르 사리치de |
8 | MF | 베이한 아메토프 | Beyhan Ametov|베이한 아메토프de |
9 | MF | 케빈 하게만 | Kevin Hagemann|케빈 하게만de |
10 | MF | 마르코 테라치노 | Marco Terrazzino|마르코 테라치노de |
11 | MF | 니크 문스터스 | Nick Munsters|닉 뮌스터르nl |
12 | GK | 에밀 메츠 | Emil Metz|에밀 메츠de |
13 | FW | 에티엔-노엘 레크 | Etienne-Noel Reck|에티엔 노엘 레크de |
14 | DF | 옥타이 달 | Oktay Dal|옥타이 달de |
16 | MF | 베르켐 쿠르트 | Berkem Kurt|베르켐 쿠르트de |
17 | FW | 딜다르 아트마카 | Dildar Atmaca|딜다르 아트마자de |
18 | FW | 티모 보르네만 | Timo Bornemann|티모 보르네만de |
19 | FW | 페드로 세자스 | Pedro Cejas|페드로 세하스es |
20 | MF | 도미니크 빌로그레비치 | Dominik Bilogrević|도미니크 빌로그레비치hr |
21 | FW | 딜한 데미르 | Dilhan Demir|딜한 데미르de |
22 | DF | 레빈 뮐러 | Lewin Müller|레빈 뮐러de |
23 | MF | 리카르도 그린 | Ricardo Grün|리카르도 그륀de |
24 | GK | 미하엘 루얌불라 | Michael Ruyambula|미하엘 루얌불라de |
27 | FW | 무하메드 베지딕 | Muhamed Bejdic|무하메드 베이디치bs |
29 | FW | 유세프 카시 | يوسف قاسي|유세프 카시ar |
30 | DF | 니클라스 담스 | Niklas Dams|니클라스 담스de |
37 | MF | 휴고 슈미트 | Hugo Schmidt|후고 슈미트de |
38 | MF | 오우즈한 케프키르 | Oğuzhan Kefkir|오우즈한 케프키르tr |
39 | DF | 킬리안 빌리차 | Kilian Bielitza|킬리안 빌리차de |
7. 주요 선수
- 귄터 "마이스터" 프뢰퍼 (1941년 8월 12일 출생)는 1970년부터 1979년까지 부퍼탈러 SV에서 활약했으며, 70년대 초 클럽의 황금기를 대표하는 선수이다. 1971-72 시즌 52골을 기록하며 2부 리그 기록을 세웠고, 이는 현재까지 깨지지 않고 있다. 분데스리가 87경기에서 39골을 넣었다. 은퇴 후 부퍼탈에 정착하여 클럽과 인연을 맺고 있다.
- 측면 공격수 호르스트 시마니악은 1956년부터 1959년까지 WSV에서 활약했으며, 월드컵에 2번 참가했다. 부퍼탈에서 활약하면서 국가대표팀에 발탁된 유일한 선수이며, 43번의 출전 중 20번을 부퍼탈에서 기록했다. 1964년 인테르 밀란에서 유러피언 챔피언스 컵을 우승했으며, 타스마니아 1900 베를린의 멤버이기도 했다.
- 에리히 프로브스트는 1956–58년 부퍼탈에서 활약하였고,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19번 출전, 1954년 월드컵에 참가하여 오스트리아가 3위를 차지하는데 기여했다. 프로브스트는 이 대회에서 6골을 기록하여 득점 순위 공동 2위에 올랐다.
- 알프레트 "코피" 베크, 1955–58, FC 장크트 파울리에서 활약하며 독일 대표로 1경기 출전.
- 에리히 하세, 1956–68, 터빈 할레에서 활약하며 동독 대표로 1경기 출전.
- 발데마르 크시엔지크, 1992–94, 디나모 베를린에서 활약하며 동독 대표로 1경기 출전.
- 에리히 리베크는 SSV에서 선수 경력을 시작하여 나중에 WSV에서 활약했다. 독일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했다.
- 모하마드 레자 아델카니, 1968-69 시즌 부퍼탈에서 활약. 1973년 테헤란의 에스테글랄 FC에 입단하여 이란 대표로 17번 출전.
- 토마스 리트옌스
- 호세 발렌시아
- 에리히 리벡 1959-1962
- 황선홍 1992-1993
- 프란티셰크 스트라카 1992-1996
- 아사에 켄 2009-2010, 2011-2012
- 발데트 라마 2022-
8. 역대 감독
순서 | 이름 | 재임 기간 |
---|---|---|
1 | 레이몬드 슈바프 | 1954–1956 |
2 | 에드문트 코넨 | 1956–1957 |
3 | 발터 베르너 | 1957 |
4 | 유프 슈미트 | 1957–1958 |
5 | 에밀 멜처 | 1958–1959 |
6 | 빌리발트 크레스 | 1959–1961 |
7 | 로베르트 게브하르트 | 1961–1965 |
8 | 아디 프라이슬러 | 1965–1967 |
9 | 쿠노 클뢰처 | 1967–1968 |
10 | 호르스트 부츠 | 1968–1974 |
11 | 야노스 베들 | 1974–1975 |
12 | 디트헬름 페르너 | 1975–1976 |
13 | 헤르베르트 부르덴스키 | 1976–1977 |
14 | 에르하르트 아흐만 | 1977 |
15 | 헤르베르트 부르덴스키 | 1977–1978 |
16 | 베른트 호스 | 1978–1979 |
17 | 롤프 뮐러 | 1979–1980 |
18 | 하인츠 루카스 | 1980 |
19 | 롤프 뮐러 | 1980–1981 |
20 | 칼리 호프만 | 1981–1982 |
21 | 조니 헤이 | 1982–1983 |
22 | 만프레트 라이허트 | 1983 |
23 | 토마스 바르텔 | 1983 |
24 | 만프레트 라이허트 | 1983–1984 |
25 | 데틀레프 피르지히 | 1984–1986 |
26 | 귄터 프뢰퍼 | 1986 |
27 | 롤프 뮐러 | 1986–1989 |
28 | 디터 타르테만 | 1989–1990 |
29 | 볼프강 예라트 | 1990–1992 |
30 | 게르트 폼 브루흐 | 1992–1993 |
31 | 미하엘 로르코프스키 | 1993–1994 |
32 | 디터 타르테만 | 1994 |
33 | 베르너 푸흐스 | 1994–1996 |
34 | 볼프강 예라트 | 1996–1997 |
35 | 알리 회퍼 | 1997 |
36 | 루디 고레스 | 1997–1999 |
37 | 로만 게슐레흐트 | 1999 |
38 | 프란티셰크 스트라카 | 1999–2001 |
39 | 조니 헤이 | 2001–2002 |
40 | 게오르크 크레스 | 2002–2004 |
41 | 베르너 카스퍼 | 2004 |
42 | 우베 푸흐스 | 2005–2007 |
43 | 볼프강 예라트 | 2007–2008 |
44 | 볼프강 프랑크 | 2008 |
45 | 크리스토프 존 | 2008 |
46 | 우베 푸흐스 | 2008–2010 |
47 | 페터 라도예프스키 (임시) | 2010 |
48 | 미하엘 댐겐 | 2010–2011 |
49 | 카르스텐 후트벨커 | 2011 |
50 | 한스-귄터 브룬스 | 2011–2012 |
51 | 요르크 융 | 2012–2013 |
52 | 페터 라도예프스키 | 2013 |
53 | 라인홀트 판츠 | 2013 |
54 | 페터 라도예프스키 | 2013–2014 |
55 | 토마스 리히터 | 2014–2015 |
56 | 슈테판 폴머하우젠 | 2015–2018 |
57 | 크리스티안 브리초 | 2018 |
58 | 아드리안 알리푸르 | 2018–2019 |
59 | 안드레아스 짐머만 | 2019 |
60 | 알렉산더 포이그트 | 2019–2020 |
61 | 파스칼 빌러 | 2020 |
62 | 알렉산더 포이그트 | 2020 |
63 | 비외른 메네르트 | 2020–2022 |
64 | 휘제예프 도안 | 2022–2023 |
65 | 크리스티안 브리초 | 2023 |
66 | 에르산 팔라탄 | 2023–2024 |
67 | 레네 클링바일 | 2024– |
참조
[1]
웹사이트
Reviersport Information (in german)
http://www.revierspo[...]
[2]
웹사이트
Rot-Blau.com - Wuppertaler SV
http://www.rot-blau.[...]
[3]
웹사이트
Wuppertaler SV
http://www.abseits-s[...]
[4]
웹사이트
Wuppertaler SV - Rot-Weiss Essen 24.11.2012
http://www.ultras-ti[...]
[5]
웹사이트
Rot-Weiss Essen - Wuppertal 17.03.2012
http://www.ultras-ti[...]
[6]
웹사이트
Wuppertaler SV - Alemannia Aachen 20.7.2014
http://www.ultras-ti[...]
[7]
웹사이트
Kader
https://www.wsv1954.[...]
Wuppertaler SV 1984
2023-08-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